부착식 초음파 유량계

부착식 초음파 유량계 (SW USF C/P)

원리

여기에 설명되는 내용은 외벽부착식 초음파 유량계를 기본으로 설명한다. 현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초음파 기술을 응용한 전파시간차(Transit-time difference)방식의 유량계이다. 측정원리는 유체가 흐르고 있는 관내에 초음파를 조사하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전파(t1;UP→DOWN)되는 초음파는 음속과 유속의 합에 비례하여 빨리 도달하고, 유체의 흐름을 거슬러서 전파(t2;DOWN→UP)되는 초음파는 음속과 유속의 차에 비례하여 느리게 도달하게 되어 시간차이(12-t1)가 발생하게 된다. 이에 발생되는 전파 시간차(Δt)는 유체속도의 상관함수이므로 이를 기초로 음파 경로 내 평균유속(v)를 연산하고 배관 내경(d)의 단 면적과 함께 고려하여 다시 유량(Q)으로 계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, 여기서 초음파는 음파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유체에 따라 고유의 음속을 갖고 통과하게 된다.

초음파유량계 장점
  • 외벽부착식 초음파 유량계는 무단수, 무천공으로 설치가 가능하며, 가동중에도 설치가 가능
  • 외벽부착식 초음파 유량계는 유체를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어, 터빈유량계나 차압식 유량계에서 나타나는 압력 손실이나 수도손실이 없고, 부식성 액체 및 고온 액체에서도 사용 가능
  • 현장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휴대용으로 제작되어 많은 현장에서 사용
  • 휴대용 초음파 유량계의 경우,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계의 교정용 표준기로도 사용
적용분야
일반산업 고정식 배관외부 부착형
일반 공정관리
수자원 산업 하천 및 지표수, 식용수
전력 산업 담수화, 물 유입공정
난방수, 정화수, 냉각수 회로
석유와 가스산업 석유수송, 적재와 하역
탱크 저장 공정
천연 가스 탈수 / 글리콜 회로배관
화학, 석유 화학 및 기타 공정산업 화학 또는 석유 화학 공급 원료
정제된 액체 탄화 수소
부식과 독성 그리고 마모성이 있는 화학 물질, 용해
설치된 유량계의 보강 또는 교체
냉각수 유입과 회로배관, 탈염수
식품 및 음료 산업 다양한 위생 공정 측정
CIP 공정
제품사양
검출기
정밀도 ±1%(DN≥50mm), ±3%(DN≤50mm)
관경 DN15~4000
센서타입 'Small, medium, large, Stainless steel, extended temperature
동작온도 '-40~+200℃/+40~+392℉
센서재질 'Aluminum, Stainless steel
보호등급 IP66, 67. 68; NEMA 4, 4X, 6, 6P
Hazardous area approval ATEX, IECEx,cQPSus
변환기
유체전도도 ≥1 μS/㎝ (water ≥20μS/㎝)
고체함유량 Solid content max. 70%
출력 4~20mA, PULSE, status, HARTⓇ, Modbus
입력 'Binary
센서재질 'Aluminum, Stainless steel
전원 85~250VAC, 11~31VDC, 20.5~26VAC/VDC
제품특징
  • 유량계 설치가 불가한 배관의 양 방향 유량 측정이 필요할 경우 사용
  • 견고한 산업용 클램프 온 설계
  • 올인원 (All-in-one) 시스템 : 소형, 중형 또는 대형 버전
  • 부식 환경, 해양 공정을 위한 stainless steel 센서 →옵션
  • 간편한 센서 설치와 옵션인 배관 두께의 측정 게이지
  • 효율적인 재 윤활 방식, 최소한의 유지 보수
  • 벽걸이 형 신호 변환기 선택 가능
종류

일반형

휴대형

제품규격서
설치조건

1 전단부 최소 10D
2 후단부 최소 5D
3 120° 범위에서 설치 추천(에어 및 퇴적물)

상승하는 파이프 라인에 설치해야함. 가능하다면 적절한 유속을 유지하여 공기, 가스 또는 증기가 배관의 위쪽에 형성되지 않도 록 해야한다.

오픈된 수평의 배관에 설치할 경우 전/후단 직관부를 확보 후 배 관을 낮추고 유량계를 설치해야 한다.

배관 내부에 진공을 예방하기 위해 유량계 후단에 공기 구멍을 설치해야 한다. 단 유량계의 측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며, 또한 공기 구멍을 통해 공기가 해결되어 유체와 공기의 경계면의 형성을 막아준다.

배관 내부에 케비케이션 현상 및 유체의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밸브는 유량계 후단에 설치해야한다.

펌프는 흡입 쪽에 유량계를 설치하면 안된다. 케이케이션 및 배 관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한다.